울혈성 심부전은 임상적 증상이 대부분 정맥계 울혈로 인한 것으로 심장의 확장기능이 이상이 있고, 심실에 혈액이 잘 채워지지 못하고 수축 기능에도 문제가 있을 때를 의미한다.
1. 원인
1) 고혈압, 심근경색, 판막질환 및 갑상샘 기능항진증 등 모든 심혈관 질환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부전으로 진행하게 된다.
2) 스트레스, 비만, 흡연, 고령(나이) 등의 원인으로도 심부전이 발생, 진행 될 수 있다.
2. 증상
1) 피로: 심박출량의 감소로 근육이나 피부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여 전신쇠약이 오고, 정맥 울혈로 대사산물을 빨리 제거하지 못해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.
2) 호흡곤란: 폐정맥압상승과 폐울혈로 인한 가장 흔한 증상이 호흡곤란이다. 초기에는 운동시 나타나지만 점차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, 기좌호흡 및 안정시 호흡곤란으로 진행된다. 발작성 야간호흡곤란은 좌심부전의 특징이다.
3) 기침과 혈담: 기침은 폐울혈로 세기관지 내에 고인 수분이 기관지 점막을 자극하기 때문에 일어난다. 이때 폐모세혈관이 파열되면 객담에 혈액이 섞인 혈담을 볼 수 있다.
4) 신장기능 저하, 부종, 체중 증가: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뇌나 신장의 혈액 관류가 감소된다. 그 결과 나트륨이나 수분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소변량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체중증가, 심장성 부종이 나타난다.
5) 맥박이상: 맥박이 저하되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장 특징적인 맥박이상은 크고 작은 맥박이 교대로 나타나는 교대맥박이다.
6) 뇌의 저산소증: 뇌로 가는혈류의 양이 감소하여 뇌의 저산소증을 초래하여 환자는 불안, 초조, 불면, 심하면 혼미 등을 보이게 된다.
7) 간 종창: 간 울혈로 간이 비대해지면서 우측 상복부에 압통을 호소하기도 한다.
8) 소화기계 증상: 간 울혈로 간문맥압이 상승하면 소화기계의 정맥울혈로 소화가 안되고 복수가 찬다.
3. 치료(약물)
1) 이뇨제: 단기적으로 수분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, 염분제한과 ACEI, 디기탈리스와 심근수축 촉진성 약물과 병용투여하여 심부전 교정이 어려운 경우 사용된다. 장기간 사용시 신장 기능장애를 초래하므로 이뇨제치료중에 전해질 과 pH, 혈액요소질소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.
2)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: 좌심실의 박출률을 증가시키므로 심부전 치료를 위해 많이 사용된다. 약물투여는 저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장기적으로 신장기능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.
3)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: 혈관을 확장시키고, 이뇨를 증가시키며, 혈관의 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박출계수가 감소한 심부전 환자에게 많이 사용된다.
4) 베타차단제: 카테콜라민 작용을 직접 억제하여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.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, 강심제, 이뇨제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보며 2주가 서서히 약물을 용량을 증가시킨다.
5) 혈관확장제: 말초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키고, 전신혈관저항을 낮추어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.
6) 비약물적 치료: 안정, 염분제한, 금주, 금연, 매일 체중측정, 유산소 운동, 상기도 감염 예방, 산소공급, 신체변화의 관찰을 잘 하여 관리해야 한다.
4. 간호
1) 심박출량 감소:심박출량 감소로 호흡곤란이 있으면 기좌호흡을 권장한다. 4시간 마다 활력증후과 의식을 사정하고 환자상태를 관찰한다. 빈맥을 유발할 수 있는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음료는 제한하다.
2) 채액과다: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관찰하여 부종의 감소를 지켜봐야 한다. 저염식이를 제공하고 수분을 제한하며 매일 일정한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갈증을 해소시킬수 있는 간호를 해야 한다.
3) 가스교환장애: 기도를 청결히 하고 산소공급을 쉽게 하기 위해 자주 체위변경을 시키며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한다.
4) 활동지속정 장애: 급성기동안에는 침상안정을 하고 호흡곤란이 완화되면 점차적으로 활동을 늘려야 한다. 활동 후에는 휴식시간을 갖도록 하고 심장재활운동은 만성 심부전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.
5) 피부통합성 장애: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호흡곤란이 심해 체위변경이 어려우면 욕창방지를위해 에어매트리스를 적용해준다.
6) 신제손상의 위험성: 디기탈리스제제를 복용할 경우 활력증후 측정를 매 시간 주의 깊게 하고, 약물 투여에 관련하여 환자상태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.
7) 불안: 환자의 불안에 대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기본적인 처치나 치료계획에 대해 설명하는 등 환자가 자신의 상태와 치료 방향에 대해 잘 알고 안정을 취하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.